반응형
2025 민생지원금, 누가 얼마를 받는지 궁금하셨죠? 기초수급자부터 일반 국민까지 소득 수준별 차등 지급 기준을 정리해드립니다.
당신이 꼭 기억할 결론
- 이번 민생지원금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차등 지급
- 기초생활수급자 최대 52만 원, 차상위계층 40만 원, 일반 국민 25만 원
- 2차 지급은 소득 상위 10% 제외
- 소비 쿠폰 형태로 지급, 지역사랑상품권·선불카드·카드 포인트 중 택1
- 사용 기한 약 4개월, 백화점·대형마트 등 사용 제한
2025 민생지원금, 전국민 대상? 소득별 차등 지급!
지급 대상은 누구?
- 전 국민이 지원 대상이며, 단 소득 상위 10%는 일부 제외
- 외국인 제외, 단 영주권자 및 결혼이주자는 지급 논의 중
소득 수준별로 얼마나?
구분 | 총 지급액 | 1차 지급 | 2차 지급 |
기초생활수급자 | 50만 원 | 40만 원 | 10만 원 |
차상위·한부모 | 40만 원 | 30만 원 | 10만 원 |
일반 국민 (90%) | 25만 원 | 15만 원 | 10만 원 |
상위 10% | 15만 원 | 15만 원 | 제외 |
추가: 인구소멸지역 거주자는 2만 원 추가 지급, 최대 52만 원 수령 가능
2025 민생지원금, 이번엔 어떻게 지급 되나요?
소비 쿠폰 형태로 지급
- 현금이 아닌 지역화폐·카드 포인트 등으로 지급
- 서울: 서울사랑상품권
- 경기: 경기지역화폐
- 제주: 탐나는전 등
- 지급 수단: 지역사랑상품권 / 선불카드 / 신용·체크카드 포인트 충전 中 택 1
사용 기한과 장소
- 사용 기한: 약 4개월
- 사용 제한: 백화점, 대형마트, 홈쇼핑, 유흥업소, 사행성 업종
- 사용 가능: 전통시장, 동네마트, 음식점, 병원, 약국, 학원, 편의점 등
마치며..
2025년 민생지원금은 전 국민 지급의 보편성과 취약계층 집중 지원의 타겟 전략을 동시에 채택한 절충형 구조입니다.
소득에 따라 최소 15만 원, 최대 52만 원까지 차등 지원되며, 현금이 아닌 지역화폐 형태로 지급되는 만큼, 미리 사용처와 신청 방법도 함께 확인해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빠르면 7월 중순부터 지급이 시작될 예정이니, 국회 통과 이후 세부 절차가 안내되는 대로 신청을 준비하세요.
지금이 바로, 받을 수 있는 지원은 제대로 챙겨야 할 때입니다.
반응형